본래 신화가 신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내면 세계를 그려내는 것이 목적이라면, 그리스 신화는 인간의 심리와 모든 사회 규범의 기원을 설명한다고 말할 수 있다<신화의 이해, 김동섭, 신아사,2013,p115>
신화는 본래 언어를 통해 기록된 것이기에 상징체계로 이루어진 언어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화가 전하려고 하는 의미는 신화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언어의 의미- 보통 은유와 비유로 되어 있음-를 분석하면 신화의 상징성을 읽어낼 수가 있다.<신화의 이해, 김동섭, 신아사,2013,p60>
첫번째 방법은 헤라클라스형이다. 헤라클라스가 12가지의 과업을 완수하는 것처럼 주어진 역경을 과감하게 이겨내는 방법이다. 두번째는 지혜릉 통한 시련의 극복 방법이다~마지막으로 우리의 단군신화에서 나타나듯이 인내형이다.<신화의 이해, 김동섭, 신아사,2013,p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