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이야기와 시(詩) 공부하기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icon 상징 에 해당하는 글4 개
2019.06.02   신화 속 언어의 의미
2016.07.04   융의 원형과 상징의 관계
2016.06.30   상징
2015.06.04   구슬의 상징과 한국문화상징사전


icon 신화 속 언어의 의미
옛이야기/신화의 이해(김동섭 신아사 ) | 2019. 6. 2. 09:10

신화는 본래 언어를 통해 기록된 것이기에 상징체계로 이루어진 언어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화가 전하려고 하는 의미는 신화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언어의 의미- 보통 은유와 비유로 되어 있음-를 분석하면 신화의 상징성을 읽어낼 수가 있다.

<신화의 이해, 김동섭, 신아사,2013,p60>

'옛이야기 > 신화의 이해(김동섭 신아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 신화  (0) 2019.06.02
신화에서 시련을 극복하는 방법  (0) 2019.06.01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융의 원형과 상징의 관계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7. 4. 01:59

그 누구도 원형 자체와는 직접적으로 대면할 수 없으며 단지 간접적으로 대면할 수 있을 뿐이다.~

 

원형 자체가 의식에 의해 건드려질 때 그것은 낮은 생물학적 차원에서 자신을 드러내어 예를 들어 본능의 표현으로서 혹은 본능적인 역동성의 형태를 띠거나, 아니면 이미지나 관념 같은 높은 정신적 차원에서 드러낸다. ~

원형은 '지금 여기'라는 시간과 공간에 자신을 드러낼 때 비로소 의식적인 마음에 일정한 형태로 지각된다. 이렇게 원형이 자신을 구체적으로 현현한 것이 바로 상징(Sinnbild, symbole)이다. 따라서 모든 상징은 원형에 참여한다. 그것은 지각될 수 없는 원형 자체에 의해 결정된다. 달리말해 상징이 상징으로서 출현하기 위해서는 원형적인 토대(an ar-chetypal ground plan)을 가져야 한다. 원형이 상징과 동일시 되는 것은 아니다. ~

 

상징은 결코 전적으로 추상적일수 없고, 육화(肉化)되게 마련이다. 이런 이유로 원형적 본성에 대한 관련성, 상황 또는 관념은 아무리 추상적일지라도 정신(Psyche)에 의해 특유의 형태, 모습, 이미지, 대상으로 시각화되거나-이는 인간이나 동식물의 형태로 구상화될 수도 있고 원, 입방체, 십자가, 구형 등으로 추상화될 수도 있다.- 또는 최소한 이미지 혹은 그림의 연속체로 표상되기 쉬운 사상(事象)으로 표현된다.

~ 융은 상징을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조재하는 것으로 상정되는 사실을 가능한 한 최손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상징은 의식이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는 어떤 불분명한 것, 알려져 있지 않은 것, 숨겨져 있는 것을 간접적으로 이미지를 통해 드러내는 수단이다. 상징은 이미지를 통해서 우리의 이성적 인식을 초월해 있는 어떤 의미를 전달하려는 것이다.

~" 상징은 알려져 있지 않거나 포착하기 어려운, 결코 완전히 정의할 수 없는 시레를 지칭하는 것이다."~

우리는 완전히 정의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는 이러한 개념을 표상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상징적인 용어를 사용한다.

~

융에게 상징이란 어떤 사물의 의미를 남김없이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

아직 온전히 알려져 있지 않은 의미를 이미지를 사용하여 최선의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되지 못한 의미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 상징의 특징이다. 만일 우리가 어떤 상징을 온전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그 상징은 이미 생동성을 잃은 것이다.

상징에는 이미지만 있는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에너지도 담겨져 있다. 융은 우리가 원형에서 느낄 수 있는 누미노제(신성한 힘)을 상징을 통해서도 느낄 수 있음을 역설한다.

 

송태현, 카를 구스타프 융의 원형 개념, 인문콘텐츠 제 6호, 2005.12. p29~31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상성  (0) 2017.01.09
반성성  (0) 2016.07.12
원형 자체와 원형의 재현  (0) 2016.07.03
상징  (0) 2016.06.30
탐색담 유형과 구조  (1) 2016.06.13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상징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30. 01:43

상징은 영적 존재의 양태가 동시에 삶의 현현일수 있으며 그 결과 직접적으로 인간 실존에 관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배인규, 민속현상에 나타난 말의 상징성, 비교민속학 9(1992)

현현: 명백하게 나타나거나 나타냄.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의 원형과 상징의 관계  (0) 2016.07.04
원형 자체와 원형의 재현  (0) 2016.07.03
탐색담 유형과 구조  (1) 2016.06.13
서사문학과 탐색담  (0) 2016.06.13
혼인과 감시  (0) 2016.06.13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구슬의 상징과 한국문화상징사전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5. 6. 4. 13:14

한국문화상징사전

 

http://oughtopia.com/bbs/zboard.php?id=colunm&page=3&select_arrange=headnum&desc=asc&category=&sn=off&ss=on&sc=on&keyword=&sn1=&divpage=1

병에 대해 알아보기

http://www.emuseum.go.kr/index.do

 

구슬의 상징

신화

동심원

거시적으로는 우주의 축소로서 ‘작은 우주’를 상징한다. 해와 달의 모상이라는 점에서 강한 우주성, 왕권을 상징한다.

왕권, 수호신

신라 진평왕이 왕위에 오르던 해 하느님의 사자가 구슬띠를 가지고 내려와 왕에게 바쳤다. 그 후로 제사할 때 왕은 이 구슬띠를 찼다.

제왕

신라 신문왕 2년 용이 왕에게 검은 구슬띠를 바치며 그 곳의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 것을 당부-만파식적

무속․민속

신령

무당이 쓰는 관모는 구슬이 달린 끈으로 장식되어 있다.

액막이, 주물

상고대의 고분에서 발굴된 목걸이 등에 사용된 구슬은 액막이나 병막이로 쓰인 것도 많다. 이때 구슬은 주술적인 힘을 상징하거나 부적과 같은 효능을 지닌 주물을 상징한다.

조화, 풍요

용의 여의주는 용의 정기라 하여 사람이 상상하는 구슬 중 가장 완벽한 것으로 여겼다. 여의주는 우주적인 조화의 힘, 풍요의 힘, 남성적인 힘 등을 총괄적으로 상징한다.

풍습

천지의 정수, 벽사

구슬은 대지의 정물이고 천지의 정수이며, 음양에 있어 지극히 순결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구슬을 품에 지니면 약효가 나타나고, 잡귀를 물리치는 힘이 생긴다고 믿었다.

귀한 자손, 아들

귀한 자식을 ‘금지옥엽’이라고 한다.

고귀함, 훌륭함

남을 높이는 말에 구슬 옥(玉)자를 많이 쓴다. 옥고, 옥동자, 옥서 등

임금, 권위

옥체, 옥안, 옥좌, 옥음, 옥보 등 구슬 옥자로 임금을 나타내었다. 임금이 임종하면 그 입에 구슬을 물렸는데, 이 때의 구슬은 여의주에 해당한다.

노동의 보람

구슬땀을 비지땀과 같은 뜻으로 쓰고 있다. 인간의 노력과 그 실천인 노동력이 구슬에 의해 상징되었다.

종교

유교: 권위, 권력

조선 시대 벼슬아치들의 옥관자는 세속적 권위와 권세 등을 상징하였다. 여의주를 문 용은 불교와 유교에서 두루 쓰였다. 불교에서는 불법의 수호자로서 용이 지닌 권능을, 유교에서는 왕의 무소불능의 권력을 각각 상징하였다.

불교: 불성, 불법

목탁은 구슬의 모상으로 ‘소리나는 구슬’이라 할 수 있다. 염주 구슬은 당적으로 염불이나 기도를 상징한다. 여의주는 영묘한 구슬로 무궁한 불법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도교: 최고, 최상

도교에서는 하느님을 옥황상제라고 한다. 이때의 구슬은 최고, 최상을 상징하고 있다.

동양 문화

벽사, 주물

고대 무덤에서 부장품으로 흔히 발견되듯 구슬은 한․중․일에서 공통적으로 벽사와 주물을 상징했다.

귀한 자손, 아들

동양 3국이 공통적이다.

순결, 신기

고대 풍속에서는 죽은 사람의 입에 진주 구슬을 하나 물리면, 그 시신이 썩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아름다움, 여체

 

역사․문학

무상, 가변성

‘구슬이 바위에 지신들/끈이야 그치리이까.(서경별곡, 정석가)

화려하고 값진 것의 무상함과 가변성이 구슬로 상징되고 있다.

빛, 달

현대 문학에서 빛, 아름다움, 달 등을 상징

현대․서양

기도

천주교의 로사리오 구슬은 불교의 염주 구슬에 비견될 수 있다. 영어 비드(bead)의 어원이 게베드, 곧 기도에 있음을 생각할 때, 서양에서 구슬 상징의 원형을 헤아릴 수 있다. 신에게 바치는 영혼과 정신의 모양이 구슬을 통해 표상되고 있다.

보배

귀하고 값진 것.

갱생

인도나 보르네오를 비롯하여 아메리카 인디언들까지도 무덤 속에 진주 구슬 바구니를 놓는 풍습이 있다. 이것은 구슬이 죽은 자를 우주적 순환의 질서에 편입시켜 환생시킬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영광, 힘, 장수

인도의 베다 시대부터 진주의 우주론적 기능과 주술적 가치는 알려져 있었다.

신의 현현

크리스트교 전통에서의 구슬은 예수가 불의 세례 속에서 영적으로 탄생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고대 그리스에서 진주는 사랑과 결혼의 상징이었다.

완성, 완벽

구슬은 신비의 중심이면서 한편으로 물질의 영성의 획득을 상징한다. 플라톤은 완전한 인간, 진화의 끝에 이른 인간의 형상을 구슬에 비유한 바 있다. 이때의 구슬은 애초부터의 완벽함이 아니라, 변모와 진화에 의한 완벽한 완성을 상징한다.

도상

불사, 영생

왕릉 등에서 출토되는 구슬은 모두 불사 영생을 비는 부장품.

별, 사람

구슬의 모양에 담긴 사람의 생각이 구체적인 도형으로 나타나는 것은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이다. 별자리가 같은 ㉦모양으로 그려져 ‘구슬=별=사람’으로 연결시킨 생각을 읽을 수 있다.

불성, 조화, 권능

불상과 탱화에는 구슬이 모든 분야에 등장하는데, 인간의 부귀 영화에 대한 욕망을 다스리고, 자비로 불성을 일깨우려는 뜻이 보인다. 고려 동경에는 음양을 상징하는 태극 무늬의 여의주가 그려져 있어 구슬의 음양을 조화시키는 힘을 상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rrow 트랙백 | 댓글



[PREV] [1] [NEXT]
관리자  |   글쓰기
BLOG main image
옛이야기와 시(詩) (108)
옛이야기 (58)
(4)
동시 (44)
Total :
Today :
Yesterday :
rss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 관리자
주인공을찾는아이's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plyfl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