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이야기와 시(詩) 공부하기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icon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에 해당하는 글25 개
2015.09.16   언제 어디서나 이야기가 있기 마련이다
2015.08.20   이야기가 살아나는 건
2015.08.01   배테의 주장
2015.06.04   구슬의 상징과 한국문화상징사전
2015.06.02   옛이야기와 연구


icon 언제 어디서나 이야기가 있기 마련이다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5. 9. 16. 03:18

 그 어디건 인간이 있는 곳에는 이야기가 있기 마련인 것만 같다. 사람들이 살아온 여정에 대해서 그리고 자신의 영혼에 대해서 이야기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내러티브, 폴 코블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11-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이야기가 살아나는 건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5. 8. 20. 23:49

내면으로 향하는 작은 모험이든 밖으로 향하는 큰 모험이든 어린이 본인의 마음과 몸이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움직이고 행동해야만 이야기가 살아난다. 어린이 본인이 움직이기 때문에 그 깊이와 파장 또한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다.

 

 

- 일본아동문학탐구, 김영순, P65 중에서-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배테의 주장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5. 8. 1. 11:51
신화, 전설, 이야기(민담)는 학문상의 개념이다. 본질적으로 말하면 세 단어는 동일한것을 의미하며 단순히 '이야기'를 의미하는데 지나지 않는다.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구슬의 상징과 한국문화상징사전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5. 6. 4. 13:14

한국문화상징사전

 

http://oughtopia.com/bbs/zboard.php?id=colunm&page=3&select_arrange=headnum&desc=asc&category=&sn=off&ss=on&sc=on&keyword=&sn1=&divpage=1

병에 대해 알아보기

http://www.emuseum.go.kr/index.do

 

구슬의 상징

신화

동심원

거시적으로는 우주의 축소로서 ‘작은 우주’를 상징한다. 해와 달의 모상이라는 점에서 강한 우주성, 왕권을 상징한다.

왕권, 수호신

신라 진평왕이 왕위에 오르던 해 하느님의 사자가 구슬띠를 가지고 내려와 왕에게 바쳤다. 그 후로 제사할 때 왕은 이 구슬띠를 찼다.

제왕

신라 신문왕 2년 용이 왕에게 검은 구슬띠를 바치며 그 곳의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 것을 당부-만파식적

무속․민속

신령

무당이 쓰는 관모는 구슬이 달린 끈으로 장식되어 있다.

액막이, 주물

상고대의 고분에서 발굴된 목걸이 등에 사용된 구슬은 액막이나 병막이로 쓰인 것도 많다. 이때 구슬은 주술적인 힘을 상징하거나 부적과 같은 효능을 지닌 주물을 상징한다.

조화, 풍요

용의 여의주는 용의 정기라 하여 사람이 상상하는 구슬 중 가장 완벽한 것으로 여겼다. 여의주는 우주적인 조화의 힘, 풍요의 힘, 남성적인 힘 등을 총괄적으로 상징한다.

풍습

천지의 정수, 벽사

구슬은 대지의 정물이고 천지의 정수이며, 음양에 있어 지극히 순결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구슬을 품에 지니면 약효가 나타나고, 잡귀를 물리치는 힘이 생긴다고 믿었다.

귀한 자손, 아들

귀한 자식을 ‘금지옥엽’이라고 한다.

고귀함, 훌륭함

남을 높이는 말에 구슬 옥(玉)자를 많이 쓴다. 옥고, 옥동자, 옥서 등

임금, 권위

옥체, 옥안, 옥좌, 옥음, 옥보 등 구슬 옥자로 임금을 나타내었다. 임금이 임종하면 그 입에 구슬을 물렸는데, 이 때의 구슬은 여의주에 해당한다.

노동의 보람

구슬땀을 비지땀과 같은 뜻으로 쓰고 있다. 인간의 노력과 그 실천인 노동력이 구슬에 의해 상징되었다.

종교

유교: 권위, 권력

조선 시대 벼슬아치들의 옥관자는 세속적 권위와 권세 등을 상징하였다. 여의주를 문 용은 불교와 유교에서 두루 쓰였다. 불교에서는 불법의 수호자로서 용이 지닌 권능을, 유교에서는 왕의 무소불능의 권력을 각각 상징하였다.

불교: 불성, 불법

목탁은 구슬의 모상으로 ‘소리나는 구슬’이라 할 수 있다. 염주 구슬은 당적으로 염불이나 기도를 상징한다. 여의주는 영묘한 구슬로 무궁한 불법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도교: 최고, 최상

도교에서는 하느님을 옥황상제라고 한다. 이때의 구슬은 최고, 최상을 상징하고 있다.

동양 문화

벽사, 주물

고대 무덤에서 부장품으로 흔히 발견되듯 구슬은 한․중․일에서 공통적으로 벽사와 주물을 상징했다.

귀한 자손, 아들

동양 3국이 공통적이다.

순결, 신기

고대 풍속에서는 죽은 사람의 입에 진주 구슬을 하나 물리면, 그 시신이 썩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아름다움, 여체

 

역사․문학

무상, 가변성

‘구슬이 바위에 지신들/끈이야 그치리이까.(서경별곡, 정석가)

화려하고 값진 것의 무상함과 가변성이 구슬로 상징되고 있다.

빛, 달

현대 문학에서 빛, 아름다움, 달 등을 상징

현대․서양

기도

천주교의 로사리오 구슬은 불교의 염주 구슬에 비견될 수 있다. 영어 비드(bead)의 어원이 게베드, 곧 기도에 있음을 생각할 때, 서양에서 구슬 상징의 원형을 헤아릴 수 있다. 신에게 바치는 영혼과 정신의 모양이 구슬을 통해 표상되고 있다.

보배

귀하고 값진 것.

갱생

인도나 보르네오를 비롯하여 아메리카 인디언들까지도 무덤 속에 진주 구슬 바구니를 놓는 풍습이 있다. 이것은 구슬이 죽은 자를 우주적 순환의 질서에 편입시켜 환생시킬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영광, 힘, 장수

인도의 베다 시대부터 진주의 우주론적 기능과 주술적 가치는 알려져 있었다.

신의 현현

크리스트교 전통에서의 구슬은 예수가 불의 세례 속에서 영적으로 탄생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고대 그리스에서 진주는 사랑과 결혼의 상징이었다.

완성, 완벽

구슬은 신비의 중심이면서 한편으로 물질의 영성의 획득을 상징한다. 플라톤은 완전한 인간, 진화의 끝에 이른 인간의 형상을 구슬에 비유한 바 있다. 이때의 구슬은 애초부터의 완벽함이 아니라, 변모와 진화에 의한 완벽한 완성을 상징한다.

도상

불사, 영생

왕릉 등에서 출토되는 구슬은 모두 불사 영생을 비는 부장품.

별, 사람

구슬의 모양에 담긴 사람의 생각이 구체적인 도형으로 나타나는 것은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이다. 별자리가 같은 ㉦모양으로 그려져 ‘구슬=별=사람’으로 연결시킨 생각을 읽을 수 있다.

불성, 조화, 권능

불상과 탱화에는 구슬이 모든 분야에 등장하는데, 인간의 부귀 영화에 대한 욕망을 다스리고, 자비로 불성을 일깨우려는 뜻이 보인다. 고려 동경에는 음양을 상징하는 태극 무늬의 여의주가 그려져 있어 구슬의 음양을 조화시키는 힘을 상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옛이야기와 연구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5. 6. 2. 16:15

옛이야기 연구

최인학 교수

http://221.150.168.65/DLiWeb20/components/searchir/viewer/FullTextViewer.aspx?bid=22396&vol=0&issue=27&page=55&type=SE

 

모티프 찾기

http://www.ruthenia.ru/folklore/thompson/a.htm

 

http://www.ruthenia.ru/folklore/thompson/n.htm

요정담 분류하기

Classifying Fairy Tales

 

http://www.frankelassociates.com/calithwain/Aarne-Thompson.htm

 

 

http://s-space.snu.ac.kr/


arrow 트랙백 | 댓글



[PREV] [1][2][3] [NEXT]
관리자  |   글쓰기
BLOG main image
옛이야기와 시(詩) (108)
옛이야기 (58)
한국구전설화 (0)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25)
옛이야기 글 (0)
그림동화 심리읽기1(오이겐 드레버만 교양인) (1)
그림동화 심리읽기2(오이겐 드레버만 교양인) (0)
슬픈 열대를 읽다=레비스트로스와 인류학을 공부하는.. (8)
신화의 이해(김동섭 신아사 ) (3)
신화의 역사(A short history of m.. (9)
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7)
서사학이란 무엇인가(제럴드 프랭스 예림기획) (0)
태초에 할망이 있었다(고혜경 한겨레 출판) (1)
처음 만나는 북유럽 신화(이경덕 원더박스) (4)
(4)
동시 (44)
Total :
Today :
Yesterday :
rss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 관리자
주인공을찾는아이's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plyfl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