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이야기와 시(詩) 공부하기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icon 옛이야기 에 해당하는 글58 개
2016.06.13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중 의형제의 문제는 자아의 확장
2016.06.13   그에게 부과된 시련을
2016.06.13   개방된 공간의 의미
2016.01.29   옛날이야기
2015.09.17   영웅신화
2015.09.17   시조신화
2015.09.17   만들다와 되다
2015.09.17   창조신화의 분류
2015.09.17   신화를 분류하는 방법
2015.09.17   캠벨과 신화


icon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중 의형제의 문제는 자아의 확장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13. 00:49

주인공의 자아가 확대된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민담이 갖고 있는 자아의 가능성의 현실화의 설정인 것이다. ~자아의 확장을 의미한다.

 

 

신연우, 외쪽이 설화와 지하국대적퇴치 설화에 보이는 자아의 자기실현 양상, 열상고전 연구 제 15집, 294쪽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인과 감시  (0) 2016.06.13
시험의 의미  (0) 2016.06.13
그에게 부과된 시련을  (0) 2016.06.13
개방된 공간의 의미  (0) 2016.06.13
옛날이야기  (0) 2016.01.29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그에게 부과된 시련을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13. 00:26

그에게 부고된 시련을 극복하면서 그는 점차 궁극적인 탐색 대상에로 접근하는 것이다.

 

곽진석, 탐색담의 유형과 해석, 서강어문 제 3, 1983. 10, 103쪽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험의 의미  (0) 2016.06.13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중 의형제의 문제는 자아의 확장  (0) 2016.06.13
개방된 공간의 의미  (0) 2016.06.13
옛날이야기  (0) 2016.01.29
캠벨과 신화  (0) 2015.09.17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개방된 공간의 의미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13. 00:21

개방된 공간은 생동적(生動的)인 공간(空間) vital space 이자 상실된 아이덴티티를 회복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곽진석- 탐색담의 유형과 구조적 해석, 1983. 10 서강어문  3, 96쪽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옛날이야기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1. 29. 18:48
옛날이야기
김육

옛날 옛적에-
그래서?
깊고 깊은 산속에-
그래서?
사람만 한 쥐 한마리가-
정말?
우는 애 배꼽을 똑 띠어 먹을랴고-
아유, 정말

심술쟁이 내 동생은
두손으로 자기 배꼽
꼭 쥐고는
그래서? 그래서? 하고
졸라대지요.

(어린이, 1949.4)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에게 부과된 시련을  (0) 2016.06.13
개방된 공간의 의미  (0) 2016.06.13
캠벨과 신화  (0) 2015.09.17
이야기 플롯 그리고 내러티브  (0) 2015.09.16
내러티브에 대한 접근  (0) 2015.09.16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영웅신화
옛이야기/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 2015. 9. 17. 04:13

영웅신화는 주인공의 영웅적 행위에 중심이 맞추어진 이야기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영웅적 행위는 기존의 제도나 규범, 제약 등을 뛰어넘는 것인데, 흔히 ' 문화영웅'으로 통칭되는 영웅들의 이야기가 여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

어떤 문화권역에서든지 거기에서 가장 중시하는 문화의 시초를 설명하면서 거기에 특정한 신이 개입되는 일은 흔다.

또, 그런 특정 문화의 시초를 둘러싼 영웅 이외에도 좀 더 보편적인 활약을 펼쳐 보인 영웅을 다룬 신화들도 꽤 많다.

~

사람이 살다보면 흡사 미로같이 여겨지거나 좀처럼 이겨낼 수 없는 난관을 겪게 되는 법이므로 이런 영웅들의 이야기는 그대로 인간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통용될 법한 보편의 이야기로 받아들여질 소지가 높다.

특히, 계속적인 고난을 받거나 실패한 영웅들의 이야기들도 만만찮게 있어서 심오함을 더해준다.

~

영웅의 고난과 실패는 신의 고난과 실패라기보다는 유한자로서의 인간이 갖는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고 하겠다.

 

- 신화, 이강엽, 연세대학교출판부, p26-27 -

'옛이야기 > 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의 사유체계를 잘 드러내는 장치  (0) 2016.07.25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  (0) 2016.07.25
시조신화  (0) 2015.09.17
만들다와 되다  (0) 2015.09.17
창조신화의 분류  (0) 2015.09.17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시조신화
옛이야기/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 2015. 9. 17. 04:02

시조신화~

이런 신화의 주인공은 대개 현실 세상이 아닌 신성한 곳에서 절대적 힘을 지닌 존재가 직접 옮겨오거나 그 후손인 것으로 되어 있다.

 

- 신화, 이강엽, 연세대학교출판부, p25 -

'옛이야기 > 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  (0) 2016.07.25
영웅신화  (0) 2015.09.17
만들다와 되다  (0) 2015.09.17
창조신화의 분류  (0) 2015.09.17
신화를 분류하는 방법  (0) 2015.09.17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만들다와 되다
옛이야기/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 2015. 9. 17. 03:59

만들다와 되다 사이의 거리가 그 신화를 향유하는 집단의 세계관이나 인생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 신화, 이강엽, 연세대학교출판부, p24

'옛이야기 > 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  (0) 2016.07.25
영웅신화  (0) 2015.09.17
시조신화  (0) 2015.09.17
창조신화의 분류  (0) 2015.09.17
신화를 분류하는 방법  (0) 2015.09.17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창조신화의 분류
옛이야기/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 2015. 9. 17. 03:44

창조신화에서~ 일단은 무에서 유를 빚어내는 이야기~, 창세 신화, 신이나 인간을 처음으로 만들어낸 이야기도 있으며, 신화에 따라서는 그 셋이 서로 어우러지면서 하나의 이야기 속에서 설명되기도 한다. 이처럼 창조 대상에 따라 구분하는 방식과는 달리, 그 대상을 만드는 방식에 따라 분류해 볼 수도 있다. 크게 본다면 둘로 나뉘는데 이미 존재하는 절대자가 세상을 만들어내는 유형이 있고, 어떤 근원적인 물질이 결합하여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거나 거기에서 진화해 나가는 유형이 있다.

특히, 후자의 유형 분류는 인간이 이 우주와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려고 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잣대가 된다.

 

- 신화, 이강엽, 연세대학교출판부, p23 -

'옛이야기 > 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  (0) 2016.07.25
영웅신화  (0) 2015.09.17
시조신화  (0) 2015.09.17
만들다와 되다  (0) 2015.09.17
신화를 분류하는 방법  (0) 2015.09.17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신화를 분류하는 방법
옛이야기/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 2015. 9. 17. 03:36

신화를 분류하는 방법은 크게 창조신화(혹은 재창조 신화), 시조신화, 영웅신화의 셋으로 나누어 볼 수 있겠다. ~

그런데 이 셋은 아주 다른 듯하면서도 사실은 동일한 추동력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하나는 세상을 만들고 하나는 국가, 혹은 씨족이나 부족을 처음으로 일으키고, 하나는 큰일을 이룬다는 점에서는 크게 다르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자면 하나는 세상을 처음으로 만들어내고 또 하나는 그보다는 작지만 한 집단을 결속하는 단위를 만들어내며 또 하나는 이미 단들어진 단위 안에서의 제도적인 개혁을 이루어낸다는 점에서 모두 무언가를 처음 혹은 새로이 만들어내는 이야기인것이다.

 

 

- 신화, 이강엽, 연세대학교출판부, p21 -

'옛이야기 > 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  (0) 2016.07.25
영웅신화  (0) 2015.09.17
시조신화  (0) 2015.09.17
만들다와 되다  (0) 2015.09.17
창조신화의 분류  (0) 2015.09.17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캠벨과 신화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5. 9. 17. 03:24

상이한 문화와 상이한 역사 시기가 표면적으로는 다양한 내러티브 구성체들을 발생시키고, 또한 크게 다른 주인공과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벨이 제안하듯 심층 분석을 통해, 표면적으로 상이한 이들 신화들이 인간의 동일한 원초적 관계에서 파생되거나 이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모두 같은 이야기임이 드러난다. 이렇게 대략적으로 기술하면 이것은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나 민속하자 프로프 같은 '구조주의적'이론가들의 분석을 지탱하는 논리와 같은 종류로 보인다.

 

- 내러티브, 폴 코블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41-


arrow 트랙백 | 댓글



[PREV] [1][2][3][4][5][6] [NEXT]
관리자  |   글쓰기
BLOG main image
옛이야기와 시(詩) (108)
옛이야기 (58)
(4)
동시 (44)
Total :
Today :
Yesterday :
rss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 관리자
주인공을찾는아이's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plyfl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