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이야기와 시(詩) 공부하기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icon 옛이야기 에 해당하는 글58 개
2016.07.25   집단의 사유체계를 잘 드러내는 장치
2016.07.25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
2016.07.12   반성성
2016.07.04   융의 원형과 상징의 관계
2016.07.03   원형 자체와 원형의 재현
2016.06.30   상징
2016.06.13   탐색담 유형과 구조 1
2016.06.13   서사문학과 탐색담
2016.06.13   혼인과 감시
2016.06.13   시험의 의미


icon 집단의 사유체계를 잘 드러내는 장치
옛이야기/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 2016. 7. 25. 02:11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과 절대자의 의지로 만드는 것이) 통합되어 정착한 신화야말로 그 신화를 믿는 집단의 사유체계를 잘 드러내는 장치가 될 것이다.

이강엽, 신화,77쪽, 고려대학교 출판부

'옛이야기 > 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  (0) 2016.07.25
영웅신화  (0) 2015.09.17
시조신화  (0) 2015.09.17
만들다와 되다  (0) 2015.09.17
창조신화의 분류  (0) 2015.09.17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
옛이야기/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 2016. 7. 25. 02:05

세상을 창조하는 방식은 크게 둘로, 하나는 무어라 형언할 수 없는 혼돈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것이고, 또 하나는 절대자의 의지로 '만드는'것이다.

이강엽, 신화, 76쪽, 고려대학교 출판부

'옛이야기 > 신화(이강엽 고려대학교출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의 사유체계를 잘 드러내는 장치  (0) 2016.07.25
영웅신화  (0) 2015.09.17
시조신화  (0) 2015.09.17
만들다와 되다  (0) 2015.09.17
창조신화의 분류  (0) 2015.09.17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반성성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7. 12. 08:27
미드에 따르면 '한 개인이 그 자신에게로 되돌아가는 경험'인데, 한 개인은 이러한 반성적 능력에 의해 사회적 과정을 이해, 조절하고, 미래의 행동을 바꾸어, 사회적 과정  자체를 수정할  수 있다.

설화의 기호학,송효섭,민음사,1999,p86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  (0) 2017.01.13
환상성  (0) 2017.01.09
융의 원형과 상징의 관계  (0) 2016.07.04
원형 자체와 원형의 재현  (0) 2016.07.03
상징  (0) 2016.06.30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융의 원형과 상징의 관계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7. 4. 01:59

그 누구도 원형 자체와는 직접적으로 대면할 수 없으며 단지 간접적으로 대면할 수 있을 뿐이다.~

 

원형 자체가 의식에 의해 건드려질 때 그것은 낮은 생물학적 차원에서 자신을 드러내어 예를 들어 본능의 표현으로서 혹은 본능적인 역동성의 형태를 띠거나, 아니면 이미지나 관념 같은 높은 정신적 차원에서 드러낸다. ~

원형은 '지금 여기'라는 시간과 공간에 자신을 드러낼 때 비로소 의식적인 마음에 일정한 형태로 지각된다. 이렇게 원형이 자신을 구체적으로 현현한 것이 바로 상징(Sinnbild, symbole)이다. 따라서 모든 상징은 원형에 참여한다. 그것은 지각될 수 없는 원형 자체에 의해 결정된다. 달리말해 상징이 상징으로서 출현하기 위해서는 원형적인 토대(an ar-chetypal ground plan)을 가져야 한다. 원형이 상징과 동일시 되는 것은 아니다. ~

 

상징은 결코 전적으로 추상적일수 없고, 육화(肉化)되게 마련이다. 이런 이유로 원형적 본성에 대한 관련성, 상황 또는 관념은 아무리 추상적일지라도 정신(Psyche)에 의해 특유의 형태, 모습, 이미지, 대상으로 시각화되거나-이는 인간이나 동식물의 형태로 구상화될 수도 있고 원, 입방체, 십자가, 구형 등으로 추상화될 수도 있다.- 또는 최소한 이미지 혹은 그림의 연속체로 표상되기 쉬운 사상(事象)으로 표현된다.

~ 융은 상징을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조재하는 것으로 상정되는 사실을 가능한 한 최손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상징은 의식이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는 어떤 불분명한 것, 알려져 있지 않은 것, 숨겨져 있는 것을 간접적으로 이미지를 통해 드러내는 수단이다. 상징은 이미지를 통해서 우리의 이성적 인식을 초월해 있는 어떤 의미를 전달하려는 것이다.

~" 상징은 알려져 있지 않거나 포착하기 어려운, 결코 완전히 정의할 수 없는 시레를 지칭하는 것이다."~

우리는 완전히 정의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는 이러한 개념을 표상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상징적인 용어를 사용한다.

~

융에게 상징이란 어떤 사물의 의미를 남김없이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

아직 온전히 알려져 있지 않은 의미를 이미지를 사용하여 최선의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되지 못한 의미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 상징의 특징이다. 만일 우리가 어떤 상징을 온전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그 상징은 이미 생동성을 잃은 것이다.

상징에는 이미지만 있는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에너지도 담겨져 있다. 융은 우리가 원형에서 느낄 수 있는 누미노제(신성한 힘)을 상징을 통해서도 느낄 수 있음을 역설한다.

 

송태현, 카를 구스타프 융의 원형 개념, 인문콘텐츠 제 6호, 2005.12. p29~31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상성  (0) 2017.01.09
반성성  (0) 2016.07.12
원형 자체와 원형의 재현  (0) 2016.07.03
상징  (0) 2016.06.30
탐색담 유형과 구조  (1) 2016.06.13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원형 자체와 원형의 재현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7. 3. 23:59

무의식이 우리에게 전달하는 원형의 재현을 원형 자체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원형적 재현들은 그 자체로는 재현할 수 없는 어떤 근본적인 형태와 관련되는 매우 다양한 생성들이다.

 

우리가 원형이라 말로써 의미하고자 하는 바는 그 자체로는 재현할 수 없는 것이나, 예시들을 가능하게 해주는 효력을 가지고 잇는 것이다. 이 예시들이 원형의 재현들이다.

 

원형이란 용어는 일정한 신화적인 이미지 혹은 모티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종종 오해되었다. 하지만 신화적 이미지와 모티프는 의식적인 재현(conscious representations)에 불과하다.

 

원형자체는 가정에 의한 모델로서, 이는 지각될 수 없고 집단 무의식의 구조적 잠재태로만 존재하는 것이다. 칸트의 물 자체(Ding an sich)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원형 자체가 무엇인지는 우리가 알 수 없다. ~

원형은 엄밀하게 말해 심리학적 내용이나 현상이 아니라, 존재의 심리차원과 유기체 차원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형 자체는 경험될 수 없으며 의식에 포착되지도 않는다.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은 단지 원형의 재현(이미지 혹은 관념)이다. 잠재적인 원형이 현실화되고, 지각이 가능해지며, 의식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것이 원형의 재현이다.

 

송태현, 카를 구스타프 융의 원형 개념, 인문 콘텐츠 제 6호, 2005.12, p28~29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성성  (0) 2016.07.12
융의 원형과 상징의 관계  (0) 2016.07.04
상징  (0) 2016.06.30
탐색담 유형과 구조  (1) 2016.06.13
서사문학과 탐색담  (0) 2016.06.13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상징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30. 01:43

상징은 영적 존재의 양태가 동시에 삶의 현현일수 있으며 그 결과 직접적으로 인간 실존에 관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배인규, 민속현상에 나타난 말의 상징성, 비교민속학 9(1992)

현현: 명백하게 나타나거나 나타냄.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의 원형과 상징의 관계  (0) 2016.07.04
원형 자체와 원형의 재현  (0) 2016.07.03
탐색담 유형과 구조  (1) 2016.06.13
서사문학과 탐색담  (0) 2016.06.13
혼인과 감시  (0) 2016.06.13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탐색담 유형과 구조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13. 22:54

탐색담 유형의 역사적 변화를 알 수 있다. 즉 탐색 목적이 우주적인 것에서 국가적인 것으로, 다시 개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탐색 대상도 현실적이고 물리적인 것에서 허구적이고 심리적인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인간의 관심이 점차 인간 자신의 문제로 수렴되고 있는 셈이다.

탐색담의 구조는 적층(積層)구조이다. 하나의 서사체는 여러 개의 서사계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하나의 궁극적인 탐색에 몇 개의 하위탐색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서사의 주인공도 일련의 시련을 겪게 된다. 그에게 부과된 시련을 극복하면서 그는 점차 궁극적인 탐색 대상에로 접근 하는 것이다.

 

 

곽진석, 탐색담의 유형과 구조적 해석, 서강어문 제 3집, 1983. 10, 102~103쪽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형 자체와 원형의 재현  (0) 2016.07.03
상징  (0) 2016.06.30
서사문학과 탐색담  (0) 2016.06.13
혼인과 감시  (0) 2016.06.13
시험의 의미  (0) 2016.06.13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서사문학과 탐색담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13. 22:50

서사문학은 언제든지 어떤 대상을 탐색한다. 탐색담은 찾음의 문학이다. 그러므로 서사문학은 찾음을 구조적 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럴 경우 찾음에 의지한 서서문학의 樣式史가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

1) 탐색 대상에 따른 분류

A: 현실적, 물리적 탐색

B: 허구적, 심리적 탐색

 

2) 탐색 목적에 따른 분류

A: 신화적 탐색

B: 전설적 탐색

c: 민담적 탐색

 

1)의  A는 결과 있는 탐색이고, B는 결과 없는 탐색이다. 그리고 2) A는 이야기 가치가 우주적인것이고, B는 그것이 사회적, 국가적인 것이다. 그리고 C는 이야기 가치가 개인적, 가족적인 것이다.

 

곽진석, 탐색담의 유형과 구조적 해석, 서강어문 제 3집, 1983. 10, 100~101쪽

'옛이야기 > 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징  (0) 2016.06.30
탐색담 유형과 구조  (1) 2016.06.13
혼인과 감시  (0) 2016.06.13
시험의 의미  (0) 2016.06.13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중 의형제의 문제는 자아의 확장  (0) 2016.06.13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혼인과 감시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13. 01:29

혼인이란 한 개인이 짝을 얻어서 하나가 되는 것이다.~

둘이 하나가 되었을 때 그 반쪽도 온전한 하나가 된다. 다시 말해 혼인은 반쪽의 자기 실현, 자기 완성을 가리키는 상징적 표현이며, 민담에서 흔한 것이다.

 

~감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어 보인다. 우선 집안에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밖이 아니라 집안이다. 밖으로의 여행이나 모험이 아니라 안으로의 탐색인 것이다. 자기 실현을 위해서는 여행과 모험이 필요할 때도 있지만~반대로 자기 안으로의 침잠과 성찰이 필요하기도 하다.

 

 

신연우, 외쪽이 설화와 지하국대적퇴치 설화에 보이는 자아의 자기실현 양상, 열상고전연구 제 15집, 297쪽


arrow 트랙백 | 댓글



icon 시험의 의미
옛이야기/옛이야기 이론 및 자료 | 2016. 6. 13. 01:12

과거 시험은 역시 상징적이며 관용적 표현이다. 그것은 이루어야 할 과업, 청소년이라면 넘어야 할 관문인 자기 완성, 사회로 진입할 것을 허락받는 입사, 자기와 사회 사이의 공식적 통로를 여는 행위이다.

 

신연우, 외쪽이 설화와 지하국대적퇴치 설화에 보이는 자아의 자기실현양상, 열상고전연구 제 15, 295-296


arrow 트랙백 | 댓글



[PREV] [1][2][3][4][5][6] [NEXT]
관리자  |   글쓰기
BLOG main image
옛이야기와 시(詩) (108)
옛이야기 (58)
(4)
동시 (44)
Total :
Today :
Yesterday :
rss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 관리자
주인공을찾는아이's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plyfly.net